Skip to content
Merged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49 changes: 49 additions & 0 deletions 3sum/youngduck.js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49 @@
/**
* @param {number[]} nums
* @return {number[][]}
*/
var threeSum = function(nums) {

// 최악의 경우 3중 for문이므로 투포인터 기법을써서 최적화 해도 for문 하나는 필요함

// 결과 배열
const result = [];

// 투포인터 기법 사용을 위한 정렬
nums.sort((a,b)=>a-b);

for(let i = 0; i < nums.length - 2; i++){
// 첫 번째 요소의 중복 건너뛰기
if(i > 0 && nums[i] === nums[i-1]) continue;

let left = i + 1;
let right = nums.length - 1;

while(left < right){
const sum = nums[i] + nums[left] + nums[right];

if(sum < 0){
left++;
}
else if (sum > 0){
right--;
}
else{
// 합이 0인 경우 결과에 추가
result.push([nums[i], nums[left], nums[right]]);

// 두 번째, 세 번째 요소의 중복 건너뛰기
while(left < right && nums[left] === nums[left + 1]) left++;
while(left < right && nums[right] === nums[right - 1]) right--;

left++;
right--;
}
}
}

return result;
};
// 시간복잡도: O(n^2)
// 공간복잡도: O(1)

42 changes: 42 additions & 0 deletions climbing-stairs/youngduck.js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42 @@
/**
* @param {number} n
* @return {number}
*/
var climbStairs = function (n) {
// 문제를 보자마자 든 생각: dfs처럼 하나씩,두개씩 가지뻗어가면서? -> 점화식,피보나치처럼 최적화된 형태겠는데? 여기까지는 생각. 근데 2칸전, 1칸전의 덧셈이라는 결론까지 내지는 못함

// 그래서 default값을 n=1,2,3까지 세팅해놓고 생각했었다. 다른사람의 점화식 풀이 참고 후 역순으로 출발해서 2칸전, 1칸전에 대한 상황에 집중하는 방식 이해 완료. 구현은 내가 직접.
if (n === 1) {
return 1;
}

if (n === 2) {
return 2;
}

return climbStairs(n - 1) + climbStairs(n - 2);
};

// 시간복잡도: O(2^n)
// 공간복잡도: O(n)

/**
* @param {number} n
* @return {number}
*/
var climbStairsOptimized = function (n) {
const dp = Array(n).fill(0);
dp[1] = 1;
dp[2] = 2;

if (n >= 3) {
for (let i = 3; i <= n; i++) {
dp[i] = dp[i - 1] + dp[i - 2];
}
}

return dp[n];
};

// 시간복잡도: O(n)
// 공간복잡도: O(n) !! dp라는 배열대신 변수 두개로 O(1)로 줄일 수 있음
28 changes: 28 additions & 0 deletions product-of-array-except-self/youngduck.js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28 @@
/**
* @param {number[]} nums
* @return {number[]}
*/
var productExceptSelf = function (nums) {
const numsLength = nums.length;

const result = new Array(numsLength).fill(1);

// 일반적으로 for문 하나로 자기자신 제외하면서 곱셈을하면서 처리할경우 O(n^2).
// for문 두개로 나눠서 처리할경우 O(n). 누적곱 개념을 활용해줘야함
// for문 하나로 누적곱 개념을 활용해서 처리할경우 O(n).

let left = 1;
let right = 1;

for (let i = 0; i < numsLength; i++) {
result[i] *= left;
left *= nums[i];

result[numsLength - i - 1] *= right;
right *= nums[numsLength - i - 1];
}

// 시간복잡도: O(n), 공간복잡도: O(1)

return result;
};
59 changes: 59 additions & 0 deletions valid-anagram/youngduck.js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59 @@
/**
* @param {string} s
* @param {string} t
* @return {boolean}
*/
var isAnagram = function (s, t) {
const mapS = new Map();
const mapT = new Map();

[...s].map((item) => {
if (mapS.has(item)) {
const itemCount = mapS.get(item);
mapS.set(item, itemCount + 1);
} else {
mapS.set(item, 1);
}
});

[...t].map((item) => {
if (mapT.has(item)) {
const itemCount = mapT.get(item);
mapT.set(item, itemCount + 1);
} else {
mapT.set(item, 1);
}
});

// NOTE - t가 s의 anagram이라는 뜻을 갯수가 같지않아도 된다고 이해했으나 anagram정의는 s구성원을 모자람,남김없이 t를만들 수 있는 상태
if (mapS.size !== mapT.size) {
return false;
}

for (const [key, value] of mapS) {
if (mapT.get(key) !== value) {
return false;
}
}

return true;
};

// 시간복잡도: O(n)
// - 문자열 s와 t를 각각 한 번씩 순회: O(n) + O(n) = O(2n) = O(n)
// - Map 비교를 위한 순회: O(k), 여기서 k는 고유 문자 개수
// - 따라서 전체 시간복잡도는 O(n)
// 공간복잡도: O(1)
// - 두 개의 Map 객체 생성: mapS와 mapT
// - 각 Map은 최대 k개의 고유 문자를 저장 (k는 고유 문자 개수)
// - 소문자 영문자만 사용하므로 k ≤ 26 (a-z)
// - 따라서 전체 공간복잡도는 O(1) (상수 시간)

// follow up: 유니코드 테스트 케이스. 큰 의미는 없음
// console.log(isAnagram("😀😀", "😀😀😀")); // false
// console.log(isAnagram("한글글", "글한글")); // true
// console.log(isAnagram("café", "éfac")); // true
// console.log(isAnagram("Hello世界", "世界Hello")); // true
// console.log(isAnagram("안녕 하세요", "하세요 안녕")); // true
// console.log(isAnagram("Café", "éfac")); // false
// console.log(isAnagram("Café", "Éfac")); // false